안녕하세요.
서울 전세값이 110주 연속 상승 중입니다.
110주의 의미는?
한달을 4주라고 하면 총 27개월에 해당되는 기간이며
2년 5개월간의 기간 동안 서울 전세가격이 상승했다는 뜻입니다.
과거 2년 5개월 상승했으니 특단의 대책이 없는 이상 앞으로도 상승은 계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https://realestate.daum.net/news/detail/all/20210808180104532
그렇다면 왜 이렇게 상승세가 안멈출까?
가장 큰 요인은 전세 물량 부족입니다. 매매가 상승으로 전세 수요는 넘치는데,
전세 매물은 감소 중에 있습니다, 바로 임대차 2법 때문입니다.
계약갱신 청구권으로 최초 2년 임대차 계약후, 최대 5%인상을 할 수 있는데,
주변 전세 시세가 아무리 높아도 시세에 맞게 높힐 수 없기 때문에,
집주인이 예정?에 없던 실거주를 하거나, 반전세나 월세로 전환을 하기 때문입니다.
한국 정서상 전세 몇억은 아깝지 않지만 월세 몇십만원은 없어지는 돈이라는 생각에
아까워 하기에 전세 선호는 계속 이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과연 정말로 전세가가 2년 반이나 올랐는지 확인해봅니다.
광화문과 여의도 직장인들이 찾는 마포로 가봅니다.
신공덕 1차 삼성 래미안 아파트 입니다.
공덕역세권에 마포대로 인접하고, 광화문/여의도 /서울역 업무지구 접근이 용이한 위치입니다.
전세가 그래프를 볼까요?
과거 3년 전세가인데 우상향이 아니군요?
위아래 춤을 추는 그래프입니다.
33평기준
21년 5월에 7.8억 거래되었는데
21년7월은 5.46억 입니다.
같은 단지 같은 평수인데,
전세가가 50%이상 차이가 납니다.
네...바로 임대차 2법으로 계약갱신 청구권을 쓴 전세 계약과, 시세대로 신규 계약한
전세가의 차이때문에 그렇습니다.
시장내 전세가 불균형이 심화되고 있습니다.
낮은 가격에 갱신권 쓴 사람을 생각하면 정책의 긍정적인 부분이 있다고요?
당장은 5%상한으로 2년간 시세 대비 낮은 가격으로 거주 공간을 확보하였지만,
2년 후에는 총 4년을 살았으니 시세대로 수억원 높게 전세가를 올려주어야 하는 처지입니다.
인플레이션 시대, 묶인돈 수억원은 자본주의 시대에서는 오히려 퇴보를 의미합니다.
경기도 상황도 살펴봅니다.
신분당선 정자역 역세권 정자상록마을 우성입니다.
여기도 과거 3개년 전세가가 우상향이 아닙니다.
2년반 동안 서울전세가는 상승중인데, 경기도는 다를까요?
자세히 보니 여기도 임대차 2법의 민낯이 여실히 나타납니다.
26평 기준 6월 전세가는 4.935억(5%상한을 맞추다 보니 이렇게 단자리 늘어지는 걸까요?)
4월 전세가는 7억 입니다.
여기도 50%이상 차이가 납니다.
전세 매물이 없으니 4월 전세가는 7억까지 솓았고,
6월 전세가는 계약갱신으로 5%상한으로 상대적 낮은 전세가 이나, 2년후가 걱정인 상황이
펼쳐진 것으로 보입니다.(물론 이코대디의 추측이고 건별 사연은 알 수가 없습니다.)
전세가는 매매가의 선행 지표입니다.
전세가 상승은 매매가 상승을 의미합니다.
전세가 안정화가 되어야 매매가가 안정화 될 수 있습니다.
정부의 부동산 정책은 취지는 좋았으나 결과적으로 부작용이 속출하고 있습니다.
임대차 2법으로 인한 전세가 상승
양도세/보유세/취득세 중과 규제 통한 매물 잠김으로 인한 매매가 상승
재초환등 규제로 인한 신축 공급 감소로 인한 매매가 상승
대출 규제로 인한 사다리 축소
조정지역 전국화에 따른 비조정 지역 과열 및 풍선효과 등
시장은 정부 규제에 반하여, 끊임없이 생물처럼 요동 치고 있습니다.
이제는 시장에 맡겨야 할 때
백약이 무효라는 말이 요새 부동산 시장을 두고 하는 말이라고 합니다.
1주택자의 세법 경우의 수가 수십가지라는 얼마전 기사가 생각이 납니다.
대한민국 부동산의 안정화는 규제를 완화하고 시장의 수요 공급에 맡길 때
비로서 실현되지 않을까요?
부동산 정책을 정치적으로 이용하지 않는 , 표를 위한 정책을 남발하지 않는
남은 21년이 되길 바랍니다.
끝.
★함께 보면 좋은 이코대디 글:
2021.06.18 - [부동산 투자 이야기] - 전국 매수 불장 단지로 보는 투자 트렌드
2021.07.30 - [부동산 투자 이야기] - 주택수 줄여야 할까요? 늘려야 할까요?
2021.07.23 - [대장 아파트 시리즈] - 부산 아파트 40억 시대
내가 만일 1주택자 라면... (10) | 2021.08.31 |
---|---|
다주택자 꿀 조합 몇 가지 (16) | 2021.08.25 |
주택수 줄여야 할까요? 늘려야 할까요? (21) | 2021.07.30 |
부동산 세금 공부안한 박과장의 운명은? (7) | 2021.07.25 |
강남에서 가장 인기 있는 단지는? (3) | 2021.07.24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