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코대디입니다.
오늘은 세종시에 대해서 한번 다뤄볼까 합니다.
작년부터 이어진 하락폭이 큰 지역은
인천광역시
세종시
경기도
대구 순이었고
특히 서울은 노원구 도봉구 중심으로 하락폭을 이끌었습니다.
바로 아래 지난달 말 기사를 봐도 쉽게 요약이 되어 있습니다.
이중에서 세종의 경우는 작년부터 지속적으로 하락 도시에 이름을 올리곤 했던 곳인데요.
전년 동기 대비 19.9%가 떨어졌다는 것은 2월 기준
전년 10억 하던 아파트가 8억이 되었다는 뜻이니, 상당한 임팩트가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오늘은 세종 아파트 올해 실거래 가격을 살펴보면서 주요단지별 가격 흐름을 짚어 봅니다.
먼저 세종을 논할려면 세종시 대장 아파트, 혹은 최고가 아파트가 어디인지 보겠습니다.
23년 1월1일 부터 23년 4월 중순 현재 까지 세종시 국평기준 최고가 순위를 뽑아 봅니다.
9.75억으로 23년 2월 실거래 된것이 국평기준 최고가 인데요...
바로 나릿재 2단지 리더스포레 입니다.
21년 입주한 단지이고, 24층이 거래된 가격입니다.
2년 실거주가 채워진 거의 첫 거래 물량인데요....
최근 세종이 몇주간 전국에서 유일하게 주간 상승 중인 지역이니,
조만간 또다른 신고가가 나오지 않을까 조심스레 기대가 됩니다.
21년 6월 준공되었으니 23년 6월 이후 시점이 아닐 까 생각됩니다.
세종 호수공원 가깝고, 나성초중고가 2분 컷,,,나릿재 마을에서 신축급...
2위는 9억에 실거래된 나릿재6단지 한신더휴리저브입니다.
23년 3월 거래이고 13층 거래 입니다.
마찬가지로 21년 입주한 단지이고
비과세 2년 후 거의 첫거래 가격이 세종시 2위 가격입니다.
나릿재 마을 신축들이 세종시 올해 시세를 견인 중입니다.
3위는 새뜸6단지힐스테이트 메이저 시티 입니다.
8.45억 실거래,,,,23년 3월 13층 거래 입니다.
세종시 전통의 대장이 새뜸 마을인데,,,
2017년 4월 준공, 새롬동위치....
21년 7월에는 11억을 찍었던 단지인데,,,,
올해 신고가는 20%수준으로 떨어져있습니다.
물론 작년 그리고 올해 초보다는 반등한 모습입니다.
새롬초,새뜸초/중,새롬고 그리고 바로 옆 학원가......
다시 10억을 터치할지 세종의 전통 새뜸 마을 반등이 기대됩니다.
4위도 새뜸 마을 입니다
새뜸 10단지 더샵힐스테이트 8.1억 거래 23년 2월
5위는 중흥s클래스센텀뷰 8억7백만원
동서남북 모두 공원으로 둘러쌓여있는 곳입니다.
마디꽃수변
빛가람수변
맑은뜰수변 어리연 수변+호수공원
전국 최고의 공세권............
6위도 다시 새뜸마을 13단지 트리쉐이드 7.85억
7위 나릿재 1단지 리더스포레 7.85억
8위 가온 12단지 더 하이스트 7.6억
9위 호려울 7단지 세종대방디엠시티 7.45억
10위 새뜸 11단지 더샵힐스테이드 7.4억
11위 새뜸....7.4억...
이처럼 세종 국평은 7~9억대까지 촘촘 하게 박혀있는 탄탄한 수렴을 보이고 있습니다.
자 오늘 포스팅 주제가 뭐였죠?
작년에 세종이 폭락했다고 세종 무시하면 안된다는 이야기였죠?
수도권에서 그리고 인천에서 탑이면서 바이오단지 자족도시를 꿈꾸는 송도로 가보겠습니다.
송도 국평과 세종 국평 가격차이가 얼마나 날까요?
아래가 올해 실거래 기준 송도 국평 최고가 단지 순위인데요...
세종과 5천만원~1억 정도 밖에 차이 나지 않습니다.
인서울과 비교해볼까요?
일단 금관구의 구로구로 가봅니다.
역시 여기도 세종과 5천~1억 차이 입니다.
구로구는 송도와 거의 1~10위 단지 실거래가 비슷합니다.
미래가치와, 단기 공급등 수급 유인도 고려해야겠지만,
일단 시장에서 구로구와 송도는 비슷한 평가를 받고 있네요.
인서울 구로구의 저평가인가 아니면 송도의 저평가인가....
수도권이 아닌 같은 지방인 대구와 비교해 볼까요?
대구는 상방은 세종 보다 역시 높습니다.
범어의 힘....
10위 권으로 나려오면 세종과 큰차이가 나질 않는데요.
역시 세종은 계획도시인만큼, 준신축이 몰려있고, 단지별 장단점이 어울러지면서
가격 차이가 크지 않군요.
굳이 최고가 단지 10위로 따지지 않고
그냥 평단가 평균으로 비교해보겠습니다.
아파트 지인 자료인데요...
세종은 수도권인 인천보다 훨씬 앞서는 평당 1497만원 시세이구요...
경기도 1626만원과더 얼마 차이 나지 않습니다. 주변의 대전은 물론
제2도시인 부산 1251만보다 높습니다.
굳이 순서를 따지면
서울->경기->세종->인천->부산 순이군요....
인구 증감수도 볼까요?
과거 1년 기준,,,,
인천과 경기가 서울 인구를 흡수한것 처럼
세종은 충북과 대전 인구를 흡수 중입니다.물론 전라도,경상도,강원도 인구 일부로 흡수...
세종 인구 유입이 8313명이라 절대수가 적어보여도
비율로 따지면, 원래 인구수가 38만명 수준인것을 감안하면, 1년간 3%가까이 인구가 늘었습니다.
그만큼 주거환경,학군,일자리등 감안 인구가 몰리는 곳입니다.
(물론 작년 시세 하락폭이 커서 추후 분양 물량 감소에 따른 인구 유입 가속화는 지연될 수 도 있겠습니다.)
오늘은 세종시 아파트 무시하지 말라는 주제로 포스팅해봤습니다.
서울-경기도에 이은 전국 3위 거점 지역이라는 사실과
쾌적성에 따라 인구가 꾸준히 유입되고 있는 점
그리고 년초까지 지속된 끊임없는 주간 낙폭에서 반등을 이루기 시작 했다는 점....
세종의 올해 흐름이 어떻게 될지 기대되는 대목입니다.
끝.
5월 로또 청약?(노량진 수방사 부지) (1) | 2023.05.20 |
---|---|
5월 분양 아파트, 어디를 주목할까? (5) | 2023.05.05 |
종부세 얼마나 줄어 들까? (7) | 2023.03.24 |
올해 가장 많이 매수한 서울 아파트 top 10 (5) | 2023.03.24 |
검단신도시 국평 4억대 분양(로또?) (4) | 2023.03.11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