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종부세 폭탄? 아직도 시작도 안했다.

부동산 투자 이야기

by 이코대디 2021. 11. 27. 20:36

본문

728x90
반응형
728x170

 

 

최근 종부세 관련 기사가 쏫아지고 있습니다.

 

이코대디와 함께 사례별 종부세 부담에 대해 분석해봅니다.

 

 

 

 

먼저 종부세란?

2005년 부터 부과되기 시작한 제도로, 주택 및 토지를 유형별로  공시 가격 합계액이 일정 기준금액을 초과하면 

그 초과분에 대하여 세금을 내는 것으로 인별 과세 입니다.

 

시작은 6월 1일 부동산 소유기준으로 하며, 12월 1일~15일 납부를 합니다. 물론 금액이 250만원 초과할 경우 분납이 가능합니다. (카드사 할부납부도 가능)

 

 

300x250

 

사례1 (마용성 준신축 1채+인천 1채)

 

 

공시가 각각 11.5억, 5억으로 계산하였습니다.

 

2300만원 정도 나오는 군요.

 

 

월 200만원이면 사회 초년생이 첫직장에 들어가면 받는 세후 금액 수준입니다.

 

재산세가 각각 2백만원 ,57만원 들어가 있으니 제외한다고 해도 

순수 종붓만 2000만원이 넘는 군요.

 

 

부동산 계산기 기준

 

 

 

 사례 2 강남 1채 기준

 

 

강남 시가 25억 남짓하는  주택 공시가 18억 수준으로 산정하고 얼마나 나올까요?

 

사례 1은 공시가 합산액이 11.5억+5억=16.5억 이었는데,

 

사례 2는 공시가 합산액이 18억으로 더 크지만 

 

보유세는 천만원으로 사례 1보다 적습니다.

 

여기서 제산세 3.7백만원 제외하면 순수 종붓는 6.3백만원으로 더 줄어 들군요.

 

 

하지만 사례 1보다 적은 것이지 보유세로 년 천만원 , 월 백만원 가까운 금액을 내야 합니다.

 

 

 

열심히 갈아타기 하고, 백화점 갈꺼 재래시장가고,

아이 학원 줄여가면서, 외식 할거 집에서 고기 먹으면서 아껴서 강남 1채 입성을 했는데

 

정부에 월 백만원 씩 내는 것입니다. 따박 따박,,,

 

정부가 질타하는 적폐인 다주택자도 아니고 10년된 소나타 타면서 절약해서 내집한채 산건데,

 

상대적 박탈감이 적지 않습니다.

 

 

 

 

사례 3 지방 2채+수도권 1채

 

 

요새 공시가 1억 이하, 지방 갭투자 등 한창 인기죠?(좀 시들해진면도 있는 느낌이네요)

 

내집 한채 제외 지방 주공 아파트를 갭투자로 2채 더 가지고 있는 3주택자 종부세 얼마나 나올까요?

 

이런 분들 적지 않죠?

 

 

수도권 1채는 5억

지방 2채는 각각 1억씩으로 산정해보겠습니다.(한채는 조정/나머지 한채는 비조정)

 

 

3주택자이니 어마어마 하게 종부세 나올까요?

 

그렇지 않습니다.

2.6백만원 나오군요...

 

이정도면 사례 1/2보다는 훨씬 적지만, 그래도 월 20만원은 세금입니다.

 

 

 

 

 

역시 공시가 총합산액이 중요한거고 조정 2주택부터는 중과 세율이 같으니, 지방 저가 아파트 (공시가 1억 포함)

소위말하는 줍줍이

종부세 미치는 영향은 미미합니다.

 

 

 

3채 있는 상태에서 (소위 말하는 버린 몸이죠?) 5채 7채 되는 것이 큰 부담은 없다는 이야기입니다.

 

 

 

그런데 문제는 해마다 종부세가 증가 한다는 점입니다.

 

공시가율 현실화의 마법이죠

 

 

아래는 강남지역 20평대 준신축 단지 종부세 예상액입니다.

 

올해 공시가 16.8억(사례2의 18억과 비슷하죠?) 보유세 850만원

 

그런데...........

 

22년은 1246만원

23년은 1688만원입니다.

(공시가 현실화 및 상승으로 년 15%수준 상승기준)

 

 

21년 850만원 대비 23년 2배로 상승합니다.

 

 

 

 

호갱노노 기준

 

 

종부세 폭탄이라고요?

 

아직 시작도 안했습니다.

 

 

 

 

역대급 양도세 내면서 종부세 무서워서 던질 분들은 없을 것이기에

->결국 전세가 상승

->반전세/월세 비중 증가

 

전세가는 매매가의 선행지표이므로, 다시 매매가 상승으로 이어지며 돌림노래처럼 되어가는 것은 아닐지...

 

이상 이코대디 생각이었습니다.

 

끝.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