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부동산 상승세가 꺾였다고? (11월 KB주택 동향)

부동산 투자 이야기

by 이코대디 2021. 11. 17. 10:23

본문

728x90
반응형
728x170

 

안녕하세요.

 

 

최근 TV뉴스나 인터넷 기사를 접하다 보면 부동산 상승세가 꺾였다는 내용의 컨텐츠들이 쏟아 집니다.

 

오늘은 이코대디와 함께 11월 KB주택 동향을 살펴보면서 과연 그런지 살펴보겠습니다.

 

 

 

아래는 11월 8주차 따끈 따끈한 지역별 아파트 매매가격 주간 변동률 입니다.

 

 

상승세가 꺾인걸로 보이시나요?

 

 

수도권 주간 상승률 0.25%

전국 0.25%

5대 광역시 0.22%입니다.

 

주간 0.25%는 뭐다?

 

0.25 X 4 주 X 12개월 =연간 12%

 

 

10억 짜리 집이 11.2억이 된다는 이야기 입니다.

 

어디 1년간 1.2억이나 오르는 재테크가 있나요?

 

문제는 10억짜리 집도 2-3년전에는 5억짜리 집이었다는 것이죠.

 

게다가 연간 12%의 기준점인 주간 0.25%상승은 올해 들어 역대급 가장 낮은 주간 상승률이니,,,,

 

 

 

8월 기준 주간 0.6%상승 이면

년간으로 하면 얼마일까요?

 

 

10억 짜리 집이 12.5억이 된다는 뜻.,,,1년만에.... 내년엔 얼마일까요?

 

 

 

 

매매가의 선행지표인 전세가 주간 동향도 보겠습니다.

 

 

 

 

수도권 0.18%

전국 0.19%

5개 광역시 0.14% 입니다

 

매매가 보다 낮군요.

 

하지만 전세가는 4년마다 거래가 필연적으로 일어나는 생활과 밀접한 지표이니 

가파른 상승은 주거안정성을 위협 합니다.(매매는 안팔고 안사면 당장 임팩트는 없지요)

 

 

전국 기준 0.19%상승이니 연간 얼마인가요?

 

 

0.2% X 4주 X 12개월 =연간 10% 수준입니다.

 

 

300x250

 

 

 

5억이 5.5억 다음에는 6억.

 

즉 4년 산다고 하면 5억 계약했는데 4년 후에는 7억 초반에 재계약을 해야 겠군요.

 

4년만에 2억이상이 올랐으니 년간 5천만원 저축이 필요합니다.(대출 제외)

 

 

 

 

 

 

오늘은 매매가 전세가 주간 동향을 통해 부동산 상승세가 과연 꺾인게 맞는지

정량적으로 분석해보았습니다.

 

 

 

728x90

 

매매가 전세가 공히 연간 10%이상 상승하는데, 상승세 둔화라고 볼 수 있는지

 

정확한 워딩은 아마,,,,,,,,,,,

 

 

부동산 폭등기->상승기로 전환

 

이게 맞을 겁니다.

 

다른 워딩으로는 

 

화폐가치 하락(인플레이션) 한창 중....

 

 

인플레이션 시대 이웃님들 모두 순자산보다는 총자산을 늘리는(인플레시대는 부채는 뭐다?) 자본주의 위너가 

되시길 바래 봅니다.

 

끝.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