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순자산 10억의 가치(직장인 은퇴자금?)

부동산 투자 이야기

by 이코대디 2021. 10. 10. 13:14

본문

728x90
반응형
728x170

안녕하세요.

 

오랜만에 이코대디 포스팅 작성을 합니다.

 

4분기가 된지도 어느덧 2주가 지나고 있습니다.

 

본격적인 연말로 접어 들면서 직장인은 직장내 나의 위치와 내년 비전에 대해서 생각해 볼때이기도 합니다.

 

요새 화두는 파이어족인 듯합니다.

 

여러 신문사들에서 실제 파이어족에 대한 기사를 다루며 성실한 직장인들을 자극하긴 하는데요.

 

오늘은 순자산 10억의 가치(부제: 직장인 은퇴자금 얼마가 적당할까?) 에 대해 작성해 봅니다.

 

 

 

 

순자산 10억의 가치는?

 

 

과거 텐인텐 카페가 유행이었습니다.

10년안에 10억 만들기 인데요. 그만큼 10억은 소시민, 중산층들에게 꿈의 숫자였습니다.

(1억도 큰 금액이었죠)

 

하지만 요새는 어떤가요?

 

과거 4년간 부동산 가격이 2배가 되면서 순자산 또한 2배가 된경우가 허다합니다.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이 11억인 시대이니,

서울에 집한채 경기도 주요 입지에 집한채 있으면 자산 10억은 기본값이 된 시대입니다.

 

 

주변에 내집한채 가진분들 많으시죠?

그리고 2채 3채 가지신분들도 적지 않습니다.

 

즉 이제 자산 10억은 중립기어가 되어 가는 시대입니다.

 

물론 양도세를 낸 이후, 그리고 융자금을 제외하고 최종 통장에 꽂히는 캐쉬가 중요하기에

 

총자산과 순자산의 개념은 분리해서 접근해야 합니다.

 

각 종 통계 지표에서 순자산 10억이 서울 경기권에서 상위 몇프로인지 시원하게 수치로

나온 것을 본적이 없으나, 체감상 상위 2~30%정도 되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300x250

 

직장인 은퇴자금은 얼마일까?

 

 

 

자녀가 1~2명 있는 부부기준으로 살펴보겠습니다.

 

종종 조기 은퇴하고 시간을 지배? 하는 깨어있는 분들을 보긴 합니다.

 

은퇴할 때 자산이 얼마인지에 포커스를 맞추지만, 월 현금 흐름이 어떻게 되는지가 직장인 조기 은퇴의

 

관건입니다. 개인적으로 이코대디는 월 300만원의 수익은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최소값입니다.

 

월 현금 흐름의 방법은

 

1.아파트 상가 월세 소득

2.주식배당금

3.창업 및 기타 수익(스마트 스토어, 무인독서실, 전자책, 강연, 본인의 파트 타임 수익등)

 

이 일반적입니다.

 

현실적으로 3번은 편차가 심하니 1번과 2번 위주로 살펴보면서 은퇴자금이 얼마나 필요할 지 알아보겠습니다.

 

사실 의지와 열정만 있으면 3번을 통해 월 50~100만원 정도의 수익 창출은 충분합니다.

 

오전 4시간만 파트타임 일을 해도 되고, 스마트 스토어, 전자책등 컨텐츠 수익, 기타 여러가지 알바등

 

그럼 남은 200만원의 현금 흐름은 어디서 창출 할까요?

 

먼저 아파트 입니다. 보통 8억 수준의 아파트 한채면 월세 100만원은 받을 수 있습니다.

 

반전세 1억에 100만원 하면 내 캐쉬는 7억이 들겠군요.

 

그리고 미국 주식이나 국내 주식 배당주에 8억 정도 담가 놓으면 배당률 4%기준, 

 

세후로 보수적으로도 월 200정도는 안정적으로 창출이 가능합니다.

 

물론 분기 배당주 월기 배당주, 등 잘 믹스해서 매월 현금으름이 있도록 세팅하면 되겠습니다.

 

우량주는 주가가 올라가는 플러스 요인도 있지만 내려갈 수 도 있는 것이고 주가가 올라 갈 수록 

 

배당율이 떨어질 개연성이 있으니 논외로 하겠습니다.

 

 

 

아파트 월세 100+배당액 200+기타소득(파트타임 잡, 컨텐츠, 스마트스토어등)50~100

 

 

 

이 정도 하면 월 250~300정도 고정 수익이 가능합니다.

 

필요자금이 얼마나 들었죠?

 

아파트 7억+배당주 10억 총 17억 정도군요.

 

자 그럼 17억 현금이 통장에 있으면 은퇴를 해도 되나???

 

아닙니다.^^

 

국평 15억 가볍게 돌파한 인덕원 엘센트로

 

 

 

내집 한채는 상수이자 생존의 기본 값입니다.

 

물론 시세 차익도 생각해야 하니 10억 정도 되는 집에서는 살아야겠죠?

 

그러면 총 27억 정도 캐쉬가 있어야 ....음 이정도는 은퇴를 해도 되겠군요.

 

물론 조기 은퇴를 하면 서울과 경기도, 지방 대도시등 집값부담이 크니,

 

마지막 10억은 꼭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자녀들이 학교도 다녀야 하고, 나중에 커서 직장도 다녀야 하고

 

그리고 주요지역 내집한채는 상수이나 안전자금이자 혹시 모를 비상용 목돈이기도 합니다.

 

결국은 정도의 차이를 감안하면

 

 

최소 25억 현금은 있어야 조기 은퇴를 고려할 수 있는 시발점이라고 봅니다.

 

 

 

 

이웃님들은 혹시 준비가 되셨나요?

 

사실 현금 25억이라고 하면 커보이는 금액이지만 수도권 2채 아파트 수준의 금액이니(물론 양도세 제외 세후)

 

불가능한 값도 아닙니다.

 

강남이나 마용성 신축은 1채만 있어도 가능한 가격이기도 합니다.(1가구 1주택 비과세 기준/ 융자 무)

 

최근 국평 28억 거래선 잠실 엘스

 

 

 

자 그럼 어떻게 해야 할까요?

 

 

직장은 계속 다니는 것이 좋습니다.

물론 스트레스로 마음과 몸이 망가지고 가족에 날설정도로 임팩트가 있다면 다른이야기이긴 합니다.

 

다만 직장을 계속 다니되, 파이프 라인 갯수와 크기는 계속 늘려가야 합니다.

 

일단 투자(부동산,미국 우량주등)는 계속 꾸준히 하되, 부수입 몇십만원이라도 파이프 라인을 구축해나가야 합니다.

 

이러면 은퇴시기를 앞당길 수 있고, 무엇보다 직장을 다니면서 남들과 다른 아우라를 가지며 조금 마음 편히 다닐 수 있게 됩니다.

 

주변을 보면 자산이 많은 직장인들이 오히려 일도 잘합니다. 아쉬울게 ? 적으니 일에 대한 자세가 다릅니다.

 

객관적으로 보면서 논리적으로 해석하고, 자신있게 실행 합니다. 열심히 한다고 성과나는 시대가 아니니까요.

 

그리고 불필요한 회식이나 정치를 하지 않으니 본인의 스트레스도 덜합니다.

 

요약을 한번 해볼까요?

 

 

1.자극적인 파이어족 은퇴기사에 현혹되지 말자

2.조기은퇴 필요조건은 현금 min.25억 수준이다(내집한채 가격에 따라 변동적)

3.일단 직장은 다니되 pipe line은 꾸준히 구축하며 공부하자.

 

 

 

여기서 3번이 가장 중요합니다.

모두 각자 상황과 투자 포트 폴리오 성향, 자산의 정도도 다를 것입니다.

 

중요한 것은 회사일에만 올인하지 말고

부동산이든 주식이든 창업이든 코인이든 쇼핑몰등등 투잡을 하든

나의 재무지표 개선하는 활동에 에너지 투입량을 소홀히 해서는 안됩니다.

 

 

 

오늘 아무것도 하지 않으면서 조기 은퇴를 꿈꾸는 것은 꿈에서나 실현 가능한 일입니다.

 

 

 

 

728x90

 

끝.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