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언제될까?(GTX-D, GTX-E, GTX-F)

부동산 투자 이야기

by 이코대디 2022. 5. 7. 09:37

본문

728x90
반응형
728x170

 

안녕하세요.

 

새정부 들어 수도권을 30분 출퇴근 시대 목표로 여러 공약이 나왔고

그에 일환으로 가장 눈에 띄는 것이 GTX 관련 계획입니다.

 

GTX A는 착공을 앞두고 있고 GTX C와 GTX B는 차근 차근 절차를 밝아가고 있습니다.(정차역이 조금씩 늘어나는 중)

 

그리고 상대적으로 교통 인프라가 약한 수도권 서부 북부 동부를 연결하는 GTX D-E-F라인을

윤석열 정부는 공약으로 내 건바 있습니다.

 

 

노선도는?

출처 비즈 조선

 

화려합니다.

 

특히 GTX F 라인은 수도권 외곽순환 노선으로 아름답기 까지 합니다.

 

GTX D는 당초 김부선에서 강남을 관통하여 팔당과 경기 광주로 이어지는 Y자 노선

GTX E는  인천검암에서 서울관통 후구리 남양주를 연결합니다.

GTX F는 고양-안산-수원-용인-성남-하남-의정부-고양까지 동그라미 순환선입니다.

 

 

 

그래서 언제 착공?

 

이웃님들은 아시겠지만 GTX라인은 A라인정도가 24년 개통을 위해 공사가 진행 중이며

그 다음으로 속도가 빠를 것으로 기대되는 GTX C노선은 아직 착공도 이루어지지 않고 있습니다.

당초 올해 착공이 기대되었으나 정착역이 오히려 추가 되고 있는 상황이죠(왕십리 인덕원 의왕 상록수)

 

GTX B라인도 용산-남양주 구간 우선 연내 착공을 계획중이며 이것은 계획일 뿐입니다.

 

 

하물며 B/C라인이 저정도인데,,,

 

D/E/F라인은 언제쯤 첫샆을 뜰까요?

 

 

 

GTX D/E/F 라인 운명은?

 

아마도 올해 6월부터 진행되는 최적노선을 위한 기획 연구에 따라 방향성이 결정될 것으로 보입니다.

도달청에 발주가 의뢰된 상황으로, 그 결과를 가지고, 제 5차 국가철도망 구축 계획에 반영이 필요합니다.

 

일단 GTX와 같은 교통 인프라는 그시작이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반영하는 것이 기본입니다.

 

아래 국토교통부 홈페이지에 들어가보면 친절히 설명이 되어 있습니다.

예비타당성 조사-기본계획 수립-기본계획 고시-기본 및 실시설계-실시계획 승인 및 고시-건설공사 시행-준공 등

 

기다긴 여정입니다.

 

 

 

신중하되 예의주시...

 

아직 새정부 출범도 전이기 때문에 기우일 수 는 있으나

막대한 자본이 투입되는 국가 철도망은 기사나 공약에 현혹되어 묻지마 투자를 하면 절대 안됩니다.

새로운 정부의 의지가 강하고 

국토교통부 장관도 새로 임명된 만큼, 향후 진행 과정에 대해 신중하되 예의주시할 필요가 있습니다.

 

또한 국가주도 기획과 운영이 아닌

 

민간이 처음부터 기획하고 시공하여 운영하고 있는

신분당선 사례를 벤치마킹 하여 민간기업의 참여를 적극 유도 해야 합니다.

 

물론 민간기업의 수익성 보장을 위해 정부자금 지원도 병행되어야 합니다.

출처 더벨

 

 

 

GTX와 부동산 가격은?

 

대세 상승기 이긴 했으나

특히 경기도 외곽지역의 부동산 가격과 GTX 정차여부 관계는 상당히 유의미하다는 것이

전문가의견이자 상식입니다.

 

아래 표를 보시면 고양과 성남의 가격 상승률은 각각 2.2억/ 3.4억으로 비율로 따지면 50%수준으로 

엄청난 수치입니다.

 

 

출처 이데일리

 

 

물론 과거 4년간 수도권에 안오를 곳이 없다고 하나 같은 권역이라도 GTX정차여부에 따라

수요의 희비가 갈리는 것은 자명한 사실입니다.

 

상대적으로 과천과 부천은 절대금액은 2.6억/1.9억으로 크게 보이나 비유로 보면 앞서 말한

지역대비 낮음을 알 수 있습니다. 

 

즉 수도권 외곽일 수록 (Feat 운정) GTX 노선의 임팩트는 클 수밖에 없습니다.

 

 

앞으로 전개될 기존 GTX노선의 확장성 그리고 신규 노선의 정차역에 대해 꾸준히 관심을 

가져야하는 이유 입니다.

 

끝.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