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코대디입니다.
17년부터 역사상 유례없는 상승을 기록한 부동산은 21년 4분기부터 소강상태에 접어 들기 시작했고
거래량 급감 속에 박스권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그렇다고 하락하는 것보다는 미세하게 상승하며 보합을 보이고 있는 모습이
주요 지역 부동산 흐름입니다.
물론 서울 및 수도권 변두리는 신고가 대비 유의미한 하락을 기록하고 있는 단지들도 있습니다.
과거 3년간은 수도권/지방 상관없이 어디든 상승했던 부동산 시장이었다면
이제는 철저히 같은 서울내에서도 권역별로 자치구별로 단지별로 전혀 다른 가격 양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바로 부동산 양극화가 시작 되었습니다.
단순히 워딩 중심 보다는 실제 단지 사례를 살펴보면서 정량적으로 분석해 보겠습니다.
먼저 아래 그래프를 보시겠습니다.
검은 색 그래프는 서초구를 리딩하는 아파트 단지의 최근 3개년 매매가 트렌드 입니다.
가운데 보라색은 마포구 리딩단지
맨아래 초록색은 노원구 리딩 단지 입니다.
이웃님들이 보시기엔 어떤가요?
서초구 리딩단지는 22년에도 명확한 우상향 트렌드
마포구 리딩 단지는 완만한 보합세
노원구 리딩 단지는 조정기를 보이고 있는 모습입니다.
아실 어플의 여러 아파트 비교 기능을 활용한 것이고
각 자치구별 시세 리딩 단지가 자동으로 필터링 되는데
맨위 부터
서초 아크로리버파크
e편한세상 마포리버파크
상계주공7단지 순입니다.
과연 양극화가 다른 권역에도 이루어지고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아래 그래프는
강남구 리딩단지
영등포구 리딩단지
도봉구 리딩단지
3개년 가격 트렌드입니다.
양극화가 느껴지시나요??
2019년 즉 3년전 세 아파트의 가격 갭과 22년 현재 가격 갭을 보시면
점차 벌어지고 있는 것이 보이고 그래프 자체의 기울기도
파란-빨간-검정순으로 완만해지고 있습니다.
이코대디가 특정단지를 고른 것이 아닌
각 자치구를 클릭하면 아실에서 자동으로 보이는 시세리딩단지를 넣은 것 뿐입니다.
순서대로
강남 도곡렉슬아파트
영등포 아크로타워 스퀘어
북한산 아이파크 입니다.
위그래프 포함하여 모두 84제곱 기준입니다.
마지막으로 한번더 시세리딩단지별 3개년 가격 트렌드 비교를 더해보겠습니다.
맨위부터
용산구 리딩단지
동대문구 리딩단지
강북구 리딩단지입니다.
3년전 가격 갭과 현재의 가격갭이 엄청나게 벌어져 있습니다.
결국은 최초 진입때 최대한 상급지로 진입한 사람이 결과적으로
더 많은 자산 증식이 이루어진 것임은 우리 주변에도 어렵지 않게 발견할 수 있습니다.
16년도 이코대디의 지인도 용산과 반포를 고민하다가 용산을 선택한 분이 계신데요.
대화를 할때마다 반포를 선택하지 않는 것에 대해서 후회하신는 것을 느낍니다.
하지만 그때 용산을 선택한 거 자체도 충분히 훌륭한 선택이었죠.
대세상승기에는 시장에 올라타는 거 자체가 중요하다면
이제는 어떤 지역에 올라타는지 또한 중요해진 시기입니다.
물론 앞으로도 또 언제 대세 상승기가 올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꾸준히 시장에 참여하며 꾸준히 투자자 생활을 이어가는거 자체가 중요하긴 합니다.
탈무드에 나오는 유명한 격언으로 오늘 포스팅을 마칩니다.
가난해도 부자의 줄에 서라
끝....
주담대 금리가 7% 라고? (5) | 2022.04.25 |
---|---|
미국 주식 vs 부동산 수익률은? (4) | 2022.04.24 |
코로나 이후 영리치의 기준은? (7) | 2022.04.15 |
종부세 과연 인하되었나.? (4) | 2022.03.25 |
코로나 이후 부자의 기준은? (8) | 2022.03.13 |
댓글 영역